청거북(붉은귀거북 : Red eared Slider, 이하 청거북)과 같은 파충류에게 조명은 단지 사육자에게 감상을 돕는 시각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파충류의 조명은 UV의 조사와 열의 발산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는 청거북과 같은 파충류가 쉴곳(Basking Area)에서 일광욕과 체온조절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원산지에서의 청거북(혹은 국내에 방생된)은 햇빛과 같은 직사광선을 잘 받을 수 있는 장소에서 상당시간 일광욕을 즐기며 이는 UV의 조사와 체온조절이 주목적이라 할 수있다.
하지만 사육상태의 청거북은 직사광선을 받으며 일광욕을 할 수 있을 만한 환경을 제공받기 힘드므로 우리 사육자들은 인공적으로 위의 두가지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UV조사
Repti Glo 5.0 Compact Tropical Terrarium Lamp, 출처 : www.hagen.com
청거북의 칼슘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비타민D3의 생산을 돕기위해 UVB를 방출하도록 특수하게 생산된 형광등과 백열등 소켓형태의 형광등 두가지가 존재하며 조사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년정도의 수명을 가진다.
실제 일광욕을 즐기는 시간대와 유효한 직사광선의 세기, 계절 등을 고려하였을때 여름엔 약 6시간 이하, 봄, 가을엔 4시간 이하, 겨울잠을 재우지 않는다면, 즉 적당한 온도와 활동이 보장된다면 봄, 가을처럼 4시간 이하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추정한 시간이므로 참고하지 말것.)
실제 해가 떠 있는 시간(일조시간)은 더 길지만 인공적인 UV조사로 인한 시력장애나 화상 등과 같은 있을지도 모르는 손상으로부터 거북을 보호하기 위해 조사시간을 줄이는 것을 권장한다. 과유불급이라 하던가? 과하게 조사하여 손상을 입는 것보다 부족하지만 안전하게 조사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비타민 D3는 다른 방법으로도 공급이 가능하니까...
(물론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것보다는 스스로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주로 쉴곳(Basking Area) 바로 위에 조사하도록 설치하며 조사거리는 메이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단, 청거북이 건드릴 수 없는 거리는 확보해야 한다.
또한 청거북과 UV등 사이에 유리나 아크릴은 UVB광선을 일부 통과시키지 못하므로 되도록이면 직접적으로 조사하도록 한다.
Black Light :
우리가 흔히 블랙 라이트라 부르는 형광등은 두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파충류의 UV조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BL(Black Light)와 다른 하나는 BLB(Black Light Blue)로써 파충류의 시력을 잃게 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은 거의 대부분 BLB이므로 이를 UV등으로 사용할 생각은 하지 않는게 좋다. 거북이 눈 먼다…
관련링크 : Black Light, 파충류의 비타민 D3 합성을 위한 조명장치
열의 발산
Daylight-Spot Sun Glo 75W 출처 : www.hagen.com
소위 스팟 램프(Spot Lamp)라는 것인데, 스스로 체온조절이 불가능한 청거북과 같은 파충류에게 좁은 범위의 장소에 열을 공급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제품은 UVA도 방출하기도 한다. 워낙에 많은 제품군이 존재하며 열을 목적으로 한 전구이기 때문에 대부분 Watt가 높으므로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스탠드(주로 백열등의 소켓이므로)를 이용하여야 한다.
스팟 램프 또한 쉴곳 바로 위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온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조절해야 한다.
만약 UVA, UVB를 방출하는 UV램프를 설치하였다면 열원으로서 백열등이나 저가형 스팟램프를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며 거리에 따라 Watt를 고려하여야 한다.(백열등이나 저가형 스팟램프는 UVA를 방출하지 않는다.)
관련링크 : 조명 - 하겐 Repti Glo UVB 콤팩트 형광전구 제품데이터 (Repti Glo Compact Fluorescent bulb)
'Companion > 조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소테라 렙티 글로 2.0은 자외선(UVB)램프인가? 아닌가? (0) | 2014.09.15 |
---|---|
반수생 거북이를 위한 스팟램프의 설치 거리 및 사용시간 (4) | 2014.09.14 |
필립스 스팟라이트에 대한 사용경험 - PHILIPS SPOT 60 Watt or 100 Watt (12) | 2011.04.13 |
거북에게 형광등 혹은 삼파장 램프를 사용하면 눈(시력)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8) | 2010.05.31 |
파충류, 거북을 위한 조명장치 - UVB램프의 효율을 높이는 반사판 (4) | 2010.05.10 |
반수생 거북과 같은 애완 파충류 체온조절을 위한 스팟램프의 역할 및 종류 (0) | 2010.03.26 |
거북이를 위한 UVB램프 형태에 따른 설치방법 (1) | 2010.01.12 |
청거북(붉은귀거북)을 키우는데 UVB램프가 꼭 필요한가요? (2) | 2009.12.21 |
Black Light, 파충류의 비타민 D3 합성을 위한 조명장치 (0) | 2009.12.20 |
조명 - 하겐 Repti Glo UVB 콤팩트 형광전구 제품데이터 (Repti Glo Compact Fluorescent bulb) (4) | 2009.12.16 |
댓글